극지 소식

각 부처에서 보도한 극지권의 새로운 소식을 모아 보여드립니다.

남극

남극 환경

  • 일반현황
  • 최근동향

남극은 만년빙으로 덮여있는 거대한 남극대륙과 그 주변을 고리처럼 감싸고 흐르는 남빙양(Southern Ocean)을 포함한다. 남빙양의 자연 경계는 남위 50°부근까지 뻗어 있으며, 크게 남극수렴선 이남의 남극권과 수렴선 이북의 아남극권으로 나눠진다. 남극수렴선이란 온도와 염분 같은 물리특성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바닷물 덩어리들이 서로 만나는 경계로서 대략 남위 50°에서 60°사이를 불규칙하게 오르내린다.

수렴선 이남의 바닷물의 연중 수온은 -1.8∼4.0℃로 수렴선 이북의 남빙양 바닷물(4∼10℃)보다 훨씬 차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의 남극권은 남극대륙과 남극수렴선 이남의 남빙양, 그리고 이곳에 있는 섬들을 일컫는다. 한편 1999년 5월에 국제수로기구(IH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에서 정한 새로운 정의에 의하면 남빙양은 남극조약 경계인 남위 60°이남의 바다를 의미한다.

남극대륙의 넓이는 일 년 내내 얼음으로 덮인 바다인 빙붕(氷棚)을 포함해 1,360만 km2가 넘고 이는 지구 육지면적의 9.2% 정도가 된다. 유럽대륙이나 호주대륙보다 넓고 아프리카대륙의 반이 넘으며 남아메리카대륙의 2/3가 넘는다. 인류의 대부분이 모여 사는 문명세계에서 멀리 떨어져 가보기가 어렵고 자연환경이 가혹해 우리의 관심이 적을 뿐, 남극대륙은 이처럼 결코 작은 곳이 아니다. 우리가 남극의 크기를 실감하지 못하는 이유는 지구의 가장 남쪽에 있고 보통 지도에서도 작게 그려져 작게 보일 뿐이다. 본초자오선을 중심으로 동쪽이 동남극이며 서쪽이 서남극이다. 동남극이 서남극보다 더 넓고 기온이 더 낮고 얼음도 더 두껍고 더 오래된 지층과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태평양에서 대서양쪽으로 총 연장 2,200km에 달하는 남극횡단산맥이 지나간다. 남극횡단산맥의 동쪽을 ‘큰 남극’ 서쪽을 ‘작은 남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킹조지섬의 각국 기지들
킹조지섬의 각국 기지들

남극의 연평균온도는 -23℃로, 사람이 사는 곳의 평균온도가 15℃인 것에 견주어보면 남극이 얼마나 추운 곳인가를 알 수 있다. 남극, 그 가운데서도 해안지방은 바람이 유난히 강한 곳이다. 남극에서도 바람이 가장 강한 곳인 동남극 커먼웰스 만의 연평균 풍속은 초속 22.2m에 달한다. 일 년 내내 이 정도의 바람이 분다는 것은 사람이 살 곳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실제 그 곳에서 2년을 살았던 남극탐험의 영웅 가운데 한 사람인 오스트레일리아 지질학자인 더글러스 모슨(Sir Douglas Mawson, 1882-1958)경이 이끄는 남극탐험대는 바람이 제대로 불면 걸어 다니지 못하고 기어 다녔다. 풍속이 초속 25m 정도 되면 사람이 바람을 안고 걷기가 힘들어지며 35m정도가 되면 숨쉬기가 어려워진다. 마침내 초속 40m가 넘으면 몸이 날린다. 몸이 날린다고 해서 낙엽처럼 허공으로 날리는 것이 아니라 중심을 잃으며 쓰러져 굴러간다. 또 낮은 온도에서 바람이 세지면 사람이 느끼는 체감 추위가 훨씬 심해지므로 바람도 기온에 못지않게 무섭다. 게다가 해안지방에서는 블리저드(blizzard)라는 강한 눈보라가 불어 남극을 그야말로 가혹한 세상으로 바꾸어 버린다. 눈보라가 심하면 수m 앞이 보이지 않게 되며 보통 이 바람은 며칠 간 계속된다. 이때는 있던 자리에 그냥 있으면서 날씨가 좋아지기를 기다리는 것이 남극에서 생존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부근을 잘 안다고, 또 목표가 가깝다고 결코 마음대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 바로 앞이 전혀 보이지 않을 때는 우리가 어떤 목표로 가더라도 실제는 한 점을 중심으로 빙빙도는 이른바 환상방황(環狀彷徨)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 출처 : 남극세종과학기지 방문 가이드북, 극지연구소 ]  새창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