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 소식

각 부처에서 보도한 극지권의 새로운 소식을 모아 보여드립니다.

북극

북극해 해양 생태계

  • 일반현황
  • 최근동향

북극해 해양 생태계는 해빙 분포와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 환경 요인들은 해양 생물의 성장과 재생산, 해류, 수온 등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최근의 급격한 환경 변화는 하위 영양 단계 생물한테 심각한 영향을 끼쳐 북극 해양 생태계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

북극해의 하위 영양 단계는 미생물, 식물 플랑크톤, 원생동물 플랑크톤, 동물 플랑크톤으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해양 미생물로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가 있다. 해양 박테리아는 용존 유기물*을 이용하여 성장하며 최종적으로는 상위 영양 단계로 유기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바이러스는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구성원으로, 숙주 생물을 죽여 용존 유기물을 생성하고 영양염을 하위 영양 단계에 머물게 하는 역할을 한다.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물군으로 북극해 해양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일차 생산자이다. 미생물과 식물 플랑크톤은 동물 플랑크톤에게 먹히고 동물 플랑크톤도 상위 포식자에게 먹힘으로써, 물고기에서 고래로 이어지는 해양 생물 먹이사슬을 형성한다.

해양 생물이 먹이사슬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변화를 겪는지는 해역의 환경과 생태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심각한 환경 변화를 겪고 있는 극지역에서는 먹이사슬 구조의 변화를 예측하기 힘들다. 북극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환경 변화와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주요 생물 군집들의 변화 양상을 이해해야 한다.

북극해 해양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플랑크톤
북극해 해양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플랑크톤

북극해 해양 생태계의 변화 양상

북극해의 생태계는 해빙과 결빙에 큰 영향을 받는다. 또한 심층수로부터 영양염류가 충분히 공급되나 일사량이 부족하고 수온이 낮아 여름을 제외하면 플랑크톤 수가 적은 편이다. 여름에는 일차 생산자인 식물 플랑크톤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해 상위 포식자인 동물 플랑크톤의 수도 같이 늘어난다. 동물 플랑크톤에게 먹히지 않고 바닥으로 가라앉은 식물 플랑크톤은 저생동물의 먹이가 된다. 저생동물들은 다시 어류나 해양 포유류에게 먹힘으로써 북극해의 해양 생태계가 유지된다.

북극해 해양생태계 먹이사슬 모식도
북극해 해양생태계 먹이사슬 모식도

수심이 낮은 북부 베링 해와 남부 추크치 해의 대륙붕 해양 생태계는 영양염 공급이 원활하여 일차 생산력이 높다. 또한 저층으로 탄소 공급이 원활하여 저생생물 밀도가 높아서 저생생물에 의존해 서식하는 해양 포유류와 조류藻類 생태계가 잘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온난화로 해빙이 줄어들자 바다코끼리와 일각고래 등 대형 척추동물과 어류 들이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출처 : 북극해를 말하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극지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