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 협력
극지관련 주요 국제협력파트너와 우리나라의 활동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북극 해양환경 보호
- 개요
- 최근동향
목적
북극해양 환경보호 워킹그룹은 1991년 북극환경보호 전략으로 만들어진 이후, 북극 이사회가 설립된 오타와 선언에 의해 설립됨. 북극해양 환경보호 워킹그룹의 업무는 북극해양환경의 보호와 지속적인 사용임. 특히 세계적 &지역적, 법적, 정책적 조치들의 타당성을 검토할 것을 특별히 위임받고, 필요한 분야에 북극이사회 북극해양 전략계획을 지지하기 위한 개선 권고안 마련
북극해양환경보호(PAME: Protection of the Arctic Marine Environment)수행 사업
주제 | |
---|---|
1 | HFO Phase IV(a) - Collect and report information on use of Heavy Fuel Oil (HFO) in the Arctic (HFO 4a단계 - 북극에서 중유(HFO) 사용에 관한 정보 수집 및 보고) |
2 | HFO Phase IV(b) - Collect, report and/or review information about on-shore use by indigenous peoples and local communities of HFO (HFO 4b단계 – 육상에서 원주민과 지역 사회의 중유(HFO) 이용에 대한 정보 수집, 보고 및/또는 검토) |
3 | HFO Phase IV(c) - Prepare an information paper summarizing PAME’s work on HFO. (HFO 4c단계 - PAME의 HFO 활동을 요약한 정보지 준비) |
4 | HFO Phase IV(d) - Explore the environmental, economic, techn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the use by ships in the Arctic of alternative fuels. (HFO 4d단계 - 북극에서 대체 연료 이용 선박의 환경, 경제, 기술 및 실용적 측면 검토) |
5 | Supporting harmonized implementation of the Polar Code. (폴라 코드의 조화로운 시행 지원) |
6 | Collect and summarize information on Arctic State safe and low impact marine corridor initiatives (북극 국가에 안전하고 적은 영향을 주는 해양통로 이니셔티브 관련 정보 수집 및 요약) |
7 | Compendium of Arctic Shipping Accidents (북극 해상 사고 기록서) |
8 | Engagement with Observer States (옵서버 국가와의 협력) |
9 | Update of PAME’s shipping priorities and recommendations (PAME의 해운 관련 우선순위 및 권장사항 최신화) |
10 | Operationalization of the Arctic Shipping Traffic Database (ASTD) System (북극 해상 교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운영화) |
11 | Operationalization of Arctic Shipping Best Practices Information Forum (북극 해운 모범 사례 정보 포럼 운영화) |
12 | Develop an Implementation Plan for the ARIAS Strategy and Action Plan (ARIAS 전략 및 행동계획을 위한 실행 계획 수립) |
13 | Desktop Study on Marine Litter including Microplastics in the Arctic (Phase I) (미세 플라스틱을 포함한 북극 해양 쓰레기에 대한 탁상 연구, 1단계) |
14 | AMSP Implementation Status Report 2017-2019 (2017-2019 AMSP 이행 현황 보고서) |
15 |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EA/EBM Implementation in the Arctic (북극 EA/EBM 이행을 위한 가이드라인 준비) |
16 | Integrated Ecosystem Assessment of the Central Arctic Ocean (중앙 북극해의 통합 생태계 평가) |
17 | Expansion and Refinement of the PAME MPA-network Toolbox. (PAME MPA-네트워크 툴박스의 확장 및 개선) |
18 | Meaningful Engagement of Indigenous Peoples and Communities in Marine Activities project (MEMA) Part II Report. (해양 활동 프로젝트(MEMA) 제2부 보고서에 원주민과 지역사회의 의미 있는 참여) |
19 | Resourc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Expert Group (REDEG) Information gathering (자원 탐사 및 개발 전문가 그룹(REDEG) 정보 수집) |
20 | Follow-up on the Framework Plan on Oil Pollution Prevention (FPOPP). (유류 오염 방지 기본 계획에 대한 후속 조치) |
21 | Good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Public Participation in EIA in the Arctic (Arctic-EIA) (북극 환경 영향 평가, EIA 및 북극에서 대중의 EIA 참여에 관한 우수 사례 제시) |
22 | Capacity building, information outreach and collaboration (역량 구축, 정보 전달 및 협력) |